
아스트라제네카, 항암제 성장 속 중국 조사 불확실성에 긴장감
글로벌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2024년 1분기에도 매출과 이익 모두에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시장의 기대에는 못 미치며 주요 리스크 요인에 대한 우려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회사는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126억 8천만 달러의 총 매출을 기록했고, 핵심 주당순이익도 7% 증가해 안정적인 성장을 확인했다. 이는 항암제, 심혈관·신장·대사, 호흡기·면역 부문에서의 고른 성과 덕분이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매출이 컨센서스를 하회한 점에 주목하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제네릭 의약품의 경쟁 심화가 자리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주력 제품인 호흡기 질환 치료제 등에서 복제약 등장으로 인한 가격 경쟁이 격화되며 수익성에 압박이 가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흐름은 제약 업계 전반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구조적 도전 과제이며, 단기적인 실적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반면 항암제 사업 부문은 여전히 강력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폐암 치료제 타그리소, 면역항암제 임핀지, PARP 억제제 린파자, 그리고 다이이찌산쿄와 공동 개발한 항체-약물 접합체 엔허투 등이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을 이어가며 실적을 견인했다. 이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연구개발 역량과 신약 출시 전략의 성공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당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회사는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연간 가이던스를 유지하며 2024년에도 두 자릿수 매출 및 이익 증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재확인했다. 또한 2025년에도 긍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이를 뒷받침하는 요소로는 강력한 신약 파이프라인과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 그리고 전략적 사업 운영 방침이 꼽힌다. 하지만 긍정적인 전망 속에서도 시장은 중국발 리스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는 중국 당국으로부터 보험 사기 및 불법 의약품 수입 혐의와 관련한 조사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일부 직원들이 조사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중국 정부의 반부패 드라이브가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기업 운영에 적지 않은 불확실성을 불러오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이번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조사 관련한 내용을 일부 공개했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정보의 구체성과 범위 모두에서 부족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인트론 헬스 등은 발표된 내용이 범위상으로 매우 제한적이라며, 조사의 향방이나 파급력에 대해 판단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향후 중국 시장 내 영업 전략 수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아스트라제네카에게 있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며, 특히 항암제를 포함한 주요 제품군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만약 이번 조사가 벌금, 판매 제한, 또는 기업 이미지 훼손 등의 결과로 이어진다면 아스트라제네카의 성장 전략 전반에 구조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단기적인 실적뿐 아니라 장기적인 주가 흐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성장세와 함께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를 얼마나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느냐에 따라 향후 평가가 갈릴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외부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 역량도 함께 요구되고 있다. 시장은 아스트라제네카가 이러한 균형을 어떻게 유지하며 전략을 실행해 나갈지 주목하고 있다.